건축선 후퇴 거리 헷갈리면 위험해요!

URL 복사스크랩

아정당

2025.07.24 업데이트

조회153

스크랩0

댓글0

“내 땅인데 왜 후퇴하라 하죠?”

 

이 기준 모르면 허가도, 

건축도 날아갈 수 있어요.

 

지키지 않으면 벌금까지 생길 수 있으니 

꼭 체크해보세요 !

 

이 글에서 알 수 있는 것

 

건축선 후퇴 거리 기준

안 지켰을 때 생기는 불이익

실전 꿀팁 & 자주 묻는 질문 정리

 


 

 

1. 건축선 후퇴 거리, 왜 중요한가요?

 

 

“건물 지으려는데 이 정도면 되겠지?”

 

하고 착공했다가, 

‘후퇴 거리 미준수’

 

허가 취소되는 사례가 꽤 많습니다. 

 

 

건축선 후퇴 거리는,

 

도로와 건물 사이를

 일정 거리 띄우는 규정이에요.

 

건축법에 따라 도로 폭에 맞춰 

거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건축선 vs 건축한계선 차이?

 

구분

건축선

건축한계선

의미

도로 경계 기준으로 띄우는 선

대지 안에서 더 후퇴시켜 설정하는 선

기준

도로 폭 기준

지역계획, 디자인 기준 포함

법적 의무

법령 기준 필수

지자체나 설계자가 조정 가능

 

 

단순한 미관 문제가 아니라,

 

  • 보행자 통행

  • 소방차 진입

  • 도로 확장

 

공공성 안전을 위한 법적 의무예요.

 

 


 

 

2. 도로 폭에 따라 후퇴 거리 달라져요

 

 

이 기준은 

 

  • 도로종류 

  • 위치 

  • 계획 도로 여부

 

따라서 약간 달라질 수 있어요.

 

간격

설명

12m 이상

없음

도로에 맞닿아도 가능

8~12m 미만

1.5m

일정 거리 띄우기

4~8m 미만

2.0m

더 많이

4m 미만

2m 이상

확보 필요, 확보 후 안쪽부터 건축 가능

 

-> 반드시 지자체 확인이 필요합니다!

 

도로 폭은 ‘지적도나 

토지이용계획확인서’로 확인 가능!

 

 

 실전 꿀팁 정리!

 

1. 지적도 먼저 확인

2. 토지이용계획확인서에서 도로폭 확인

3. 구청 건축과에 전화로 물어보기

 

지역 구분도 꼭 체크하셔야 해요!

 

 


 

 

3. 지키면 안전, 안 지키면 처벌!

 

 

건축선 띄우는 기준을 두는 

이유는 명확해요!

 

✔ 보행자와 차량의 안전 확보

✔ 소방차 진입 같은 비상 동선

✔ 향후 차도 확장을 위한 공간 확보

 

이유가 분명해요. 

 

 

하지만, 

규정 어기면 불이익도 큽니다!

 

항목

내용

벌금

최대 500만 원 이하

조치

시정명령
→ 강제 이행
→ 철거 명령

처리 시간

15일 이내 조치,
미이행 시 불이익 증가

 

건축선 위반은 허가 조건 위반에 해당해, 

나중에 매매나 임대도 어려워질 수 있어요! 

 


 

 

‘차도 폭’만 확인하면 어렵지 않아요!

 

허가 전 지적도 + 도로폭 체크는 필수! 

간단한 절차로 큰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요.

 

도움이 되셨다면 저장해두시고 

건축 계획 세울 때 꼭 참고해보세요! 😊

 


 

잠깐!

아직도 직접 발품팔아 집 찾고 계신가요?

 

실 매물 5만 개 보유!
실시간으로 매물 조회 가능합니다.

 

[서울 강남구 월세 싼 집 모음.zip]

▼ 지금 제일 핫한 매물, 바로 보기 ▼

목록으로

건축선 후퇴 도로, 건축선 후퇴선, 건축선 후퇴 면적

댓글 0

관심글 댓글 알림

비회원(로그인필요)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