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면적 확인 이 부분 세심하게 따져보기

URL 복사스크랩

아정당

2025.09.08

조회16

스크랩0

댓글0

부동산 계약할 때 “실평수는 몇 평이에요?”

라고 물어본 적 있으시죠?

 

겉으로 보기엔 넓어 보여도
막상 입주하면 좁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아요.

 

오늘은 공급면적 확인 방법과 주의사항
1분 만에 정리해드릴게요!

 


 

▼ 손해없는 부동산 계약, 영상으로 확실히 배우기

 

공급면적, 간단 정리

 

구분

의미

포함 범위

특징

전용면적

실제가 단독으로 쓰는 공간

방·거실·주방·욕실

관리비 기준 산정 X

공용면적

주민이 함께 쓰는 공간

복도·계단·엘리베이터

관리비 부담 있음

공급면적

전용면적 + 공용면적

집 계약서에 표시

광고 시 가장 많이 활용

 

공급면적 확인 절차

 

1. 계약서 확인 → 매매·전세계약서에 ‘공급면적, 전용면적’ 구분 기재

2. 등기부등본 열람 → 인터넷등기소에서 조회

3.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 → 단지별 공급·전용면적 정보 확인

 

 

주의사항 및 불이익

 

  • 광고와 실제 면적 차이 → 광고는 공급면적 기준, 실제는 전용면적 기준

  • 관리비 부담 → 공용면적이 큰 단지는 관리비가 높아질 수 있음

  • 법적 분쟁 위험 → 계약서 내 면적 누락·착오가 있으면 분쟁 시 불리하게 작용

 

 

 


 

꿀팁

 

  • 아파트 → 전용률(전용÷공급×100) 확인이 핵심!

  • 전용률 80% 이상 → 실사용 면적이 넓어 만족도↑

  • 전용률 70% 이하 → 공용면적이 커서 관리비 부담↑

  • 등기부등본 → 온라인을 통해 사전 열람 필수

 


 

FAQ

 

Q1. 클수록 무조건 좋은 건가요?

→ 아니에요. 전용률이 낮으면 실제 생활 공간은 줄고, 관리비는 올라가요.

 

Q2. 공급면적과 계약면적은 같은 건가요?

→ 보통 같은 의미이나, 일부는 ‘계약면적=공급면적+기타 서비스 면적’으로 표기되기도 해요.

 

Q3. 공급면적 확인은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 사후 확인은 법적 효력이 약하니 계약 전에 확인해야 해요.

 

Q4. 세금과도 관련 있나요?

→ 취득세·보유세 등은 전용면적 기준으로 산정되는 경우가 많아요.

 


 

부동산 계약,
금액이 큰 만큼 꼼꼼히 챙기셔야 손해가 없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공급면적 확인법 꼭 기억하시고,
손해 없는 계약하시기 바랍니다.

 


 

잠깐!

직접 발품팔아 집 찾고 있다면?

실 매물 5만 개 보유중이니

실시간 매물 조회 가능해요!

 

▼ 지금 제일 핫한 매물, 바로 보기 ▼

 

 

 

목록으로

공급면적 전용면적 확인, 공급면적 확인방법, 공급면적 기준

댓글 0

관심글 댓글 알림

비회원(로그인필요)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