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감리 필수요소 역할을 해요
아정당
2025.08.19
조회42
스크랩0
건축이나 인테리어 공사를 할 때
공사감리는 빠질 수 없는 과정이에요.
공사감리의 역할, 절차, 주의사항을
3분 안에 정리해드릴게요!
📌 공사감리 핵심 요약
구분 | 내용 |
---|---|
정의 | 건축·토목 공사가 법과 설계도대로 진행되는지 감독·확인하는 업무 |
법적 근거 | 「건축법」 제25조, 「건설기술진흥법」 제48조 |
의무 대상 | 연면적 200㎡ 이상 건축물 (단독주택 일부 제외) |
주요 역할 | 설계도 준수, 자재 품질 확인, 안전관리 점검 |
위반 시 | 무감리 시공 시 이행강제금 최대 500만 원 부과 가능 |
▼ 주거지 고민 중이라면 반드시 시청해보세요!
공사감리 절차
- 감리자 지정 : 건축주가 건축허가 신청 시 감리자 등록
- 착공 전 협의 : 시공사와 감리자가 착공계 제출 (소요: 약 7일)
- 현장 점검 : 주요 공정(기초, 골조, 마감 등)마다 감리자 확인
- 중간보고 : 지자체에 공정별 점검 결과 보고
- 완료 확인 : 준공검사 시 감리 확인서 필수 제출
“시공사 + 감리자 + 지자체”가 함께 움직여요
📌 공사감리와 시공의 차이
구분 | 시공사 | 감리자 |
---|---|---|
역할 | 실제 공사 수행 | 공사 과정 감독·점검 |
이익 | 공사비 절감 선호 | 안전·품질 확보 최우선 |
관계 | 계약 당사자 | 제3자, 독립적 입장 |
시공사는 “짓는 사람”,
감리자는 “검증하는 사람”이에요.
주의사항
무감리 시공 금지 : 감리자 없이 진행 시 과태료 부과
보고 의무 : 감리자가 현장 미점검 시, 본인도 과태료 부과
시간 소요 : 감리 점검은 공정마다 1~3일씩 필요 → 전체 공사 기간 최대 1~2개월 연장 가능
꿀팁
감리비용 : 보통 총공사비의 2~5% 수준
현장 사진 기록 필수 : 분쟁 대비용으로 감리자 점검 시 촬영 자료 남기기
지자체 신고 : 감리자 배치 신고가 안 되어 있으면 착공 불가
자주 묻는 질문
Q1. 단독주택도 감리가 필요한가요?
연면적 200㎡ 초과 시 의무, 그 외는 선택 가능해요.
Q2. 감리자가 시공사 편을 드는 경우도 있나요?
원칙적으로 독립적 입장이며, 위반 시 자격정지 처분을 받아요.
Q3. 감리비가 너무 비싸면 협상할 수 있나요?
협상은 가능하지만, 최저 기준 이하 책정 시 지자체 허가가 어려울 수 있어요.
Q4. 감리 없이 진행하면 준공이 안 되나요?
맞습니다. 감리확인서 없으면 준공검사 통과 불가예요.
공사감리는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는 핵심 장치예요.
집이나 건물을 짓는다면,
감리자 지정은 필수입니다!
잠깐!
직접 발품팔아 집 찾고 있다면?
실 매물 5만 개 보유중이니
실시간 매물 조회 가능해요!
▼지금 제일 핫한 매물 확인하세요▼
공사감리 표준계약서, 공사감리 대상, 공사감리 전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