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폭 기준 확인하는법
아정당
2025.08.01
조회399
스크랩0
도로랑 맞닿아 있으면 집 지을 수 있는 건가?
이렇게 생각하셨다면 꼭 읽어보세요!
건축허가 가능한 도로인지,
폭이 4m 이상인지..
한 번 확인해보면 생각보다 많은 게 걸려 있어요.
목차
1. 도로폭 확인 방법 3가지
2. 기준을 놓치면 불이익이 생겨요
3. 실전 꿀팁 총정리!
- 도로폭 기준 한눈에 보기
구분 | 기준 내용 |
---|---|
일반 건축 허가 기준 | 도로 폭 4m 이상 도로에 접한 대지 |
접도 의무 길이 | 최소 2m 이상 도로에 접해야 허가 가능 |
2필지 이상 분할 시 기준 | 각 필지가 도로에 개별로 접해야 함 |
주차장 설치 의무 기준 | 폭 6m 이상 도로일 경우 다가구나 공동주택 설치 가능 |
도로 인정 범위 | 지적도 상 ‘도로’ 표기 + 실제 통행 가능해야 함 |
1. 도로폭 확인 방법 3가지
방법 1. 토지이용계획 확인원에서 확인하기
정부24 / 민원24에서 출력 가능
→ 도로와 인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방법 2. 지적편집도 확인
LX 국토정보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 지적도상 도로 표시와 폭 추정이 가능해요.
방법 3. 관할 시·군청 도로과 전화 문의
법정도로 여부 및 폭, 구조 등
행정 정보 확인이 가능해요.
2. 기준을 놓치면 불이익이 생겨요
상황 | 발생 가능한 문제 |
---|---|
폭 4m 미만 도로 | 건축 허가 불가 → 재산 활용 제한 |
접도 길이 2m 미만 | 토지 분할 또는 신축 불가 |
지적도엔 있지만 실제 도로 아님 | 허가 불허 및 강제 철거 가능성 있음 |
반드시 지적도 + 실측 둘 다 확인해야 해요.
지적도상 도로라도, 펜스나 담장이 가로막고 있다면?
= 도로로 인정 안 될 수 있음!
3. 실전 꿀팁 총정리!
줄자 또는 거리 측정 앱 활용하기
확실하게 측정해야 이후 문제가 발생해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요.
경계석~경계석 기준으로 측정하기
건물 벽이 아닌, 경계석을
기준으로 측정해야해요.
2차선 도로 기준은 보통 약 6m
길이를 잴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림잡아 짐작할 수 있어요.
도로폭 확인은 필수!
도로폭이 3.5m 이하이면
소방차 진입 곤란 구역일 가능성이 있어요.
건축계획 전에 도로폭부터 꼭 확인해야 해요!
4m만 안 돼도 집 한 채를
못 짓는 상황이 생길 수 있거든요 :)
잠깐!
아직도 직접 발품팔아 집 찾고 계신가요?
실 매물 5만 개 보유!
실시간으로 매물 조회 가능합니다.
[서울 강남구 월세 싼 집 모음.zip]
▼ 지금 제일 핫한 매물, 바로 보기 ▼
도로폭 측정 기준, 도로폭원 기준, 도로폭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