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츠 곡선 다양한 분야에서 애용하는 이유

URL 복사스크랩

아정당

2025.08.25

조회34

스크랩0

댓글0

소득 불평등을 한눈에 보는 방법

 

우리 사회의 소득 불평등 정도는
어떻게 측정할까요?

 

오늘은 그 핵심 지표인 로렌츠 곡선
쉽고 빠르게 알려드릴게요!

 


 

✅ 핵심 내용 한눈에 보기

 

항목

내용

정의

소득 분포의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곡선

축 구성

x축: 인구 누적 비율 / y축: 소득 누적 비율

기준선

완전평등선 (45도 직선)

불평등 정도

곡선이 아래로 휘어질수록 불평등 ↑

관련 지표

지니계수 = (평등선 면적 – 로렌츠 곡선 면적) ÷ 평등선 면적

 

 

로렌츠 곡선 이해하기

 

  1. 인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해요.

  2. 가장 가난한 사람부터 소득을 누적합계로 계산해요.

  3. 인구 비율(x축)과 소득 누적 비율(y축)을 점으로 찍고 이어 그린 게 바로 로렌츠 곡선이에요.

 

👉 소득 상위 20%가
전체 소득의 60%를 차지한다면
곡선은 크게 아래로 휘어집니다.

 

 


 

✅ 지니계수와 비교

 

구분

로렌츠 곡선

지니계수

형태

곡선 그래프

0~1 사이의 숫자

의미

소득 분포 불평등을 시각적으로 표현

불평등 정도를 수치화 (0=완전평등, 1=완전불평등)

활용

시각적 이해에 적합

국가 간, 시기 간 비교에 적합

 

 


 

주의사항

 

  • 곡선만 봐서는 정확한 수치 비교는 어려워요 → 반드시 지니계수와 함께 사용해야 해요.

  • 지니계수 0.4 이상이면 국제적으로 불평등이 심한 사회로 분류돼요.

  • 특정 소득 집단만 보고 일반화하면 안 돼요 → 반드시 전체 분포를 고려해야 합니다.

 


 

꿀팁

 

  • 경제 기사 볼 때 “지니계수 0.34”라고 나오면, “로렌츠 곡선에서 얼마나 휘었는지”로 이해하면 편해요.

  • “시각적 = 로렌츠 곡선 / 수치적 = 지니계수”라고 짝지어 기억하면 헷갈리지 않아요.

 

 


 

FAQ

 

Q1. 경제학에서만 쓰이나요?
아니요! 소득뿐만 아니라 자산 분포, 소비 분포 등 불평등 측정에도 활용돼요.

 

Q2. 지니계수랑 다른 점이 뭔가요?

곡선은 그림, 지니계수는 숫자예요. 같이 봐야 정확해요.

 

Q3. 우리나라 지니계수는 어느 정도인가요?

최근 수치는 약 0.33 전후로 OECD 평균보다 약간 낮은 편이에요.

 

 


 

로렌츠 곡선
= 소득 불평등을 그림으로 표현한 도구

 

완전평등선과의 차이가 클수록 불평등이 심하고,
지니계수와 함께 봐야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요!

 


 

잠깐!

아직도 직접 발품팔아 집 찾고 계신가요?

 

실 매물 5만 개 보유!
실시간으로 매물 조회 가능합니다.

 

[서울 강남구 월세 싼 집 모음.zip]


▼ 지금 제일 핫한 매물, 바로 보기 ▼

목록으로

로렌츠 곡선 계수, 로렌츠 곡선 적분, 로렌츠 곡선 미분

댓글 0

관심글 댓글 알림

비회원(로그인필요)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
가입하기
apply icon 셀프 바로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