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중개수수료 총정리! 상한, 복비 계산법부터 네고 협의 완벽 가이드
아정당
2025.05.08 업데이트
조회96
스크랩0
부동산 중개수수료,
상한? 계산법? 모두 정리했습니다.
상한요율
: 0.3 ~ 0.9%
계산 방법
: 매매 및 전세
= 거래 금액 X 상한요율
: 월세
= {보증금 + (월세 X100)} X 상한요율
목차
1.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상한선 정리
2. 복비 계산 방법, 이것만 따라하세요!
3. 부동산 중개수수료 네고 가능할까?(ft. 협의 조건)
1.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상한선 정리
부동산 중개수수료율은
① 주택 유형
② 매매 및 임대차 계약
크게 2가지에 따라 상이합니다.
같은 조건이어도 지역에 따라
0.2~0.5%편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택]
거래 내용 | 금액 | 상한요율 | 한도액 |
---|---|---|---|
매매 / 교환 | 5천만 원 미만 | 0.6% | 25만 원 |
5천만 원 이상~2억 원 미만 | 0.5% | 80만 원 | |
2억 원 이상~9억 원 미만 | 0.4% | - | |
9억 원 이상~12억 원 미만 | 0.5% | - | |
12억 원 이상~15억 원 미만 | 0.6% | - | |
15억 원 이상 | 0.7% | - | |
임대차 등 | 5천만 원 미만 | 0.5% | 20만 원 |
5천만 원 이상~2억 원 미만 | 0.4% | 30만 원 | |
2억 원 이상~9억 원 미만 | 0.3% | - | |
9억 원 이상~12억 원 미만 | 0.4% | - | |
12억 원 이상~15억 원 미만 | 0.5% | - | |
15억 원 이상 | 0.6% | - |
이때 건축물 중 주택 면적에 따라
적용되는 중개보수가 달라요.
½ 이상일 경우
➔ 주택 중개보수
½ 미만일 경우
➔ 주택 외의 중개보수
(상한요율 최대 0.9%)
[오피스텔]
적용대상 | 거래 내용 | 상한요율 |
---|---|---|
- 전용면적 85㎡이하 - 일정설비를 모두 갖춘 경우 전용수세식 화장실 및목욕시설 등) | 매매 / 교환 | 0.5% |
임대차 등 | 0.4% | |
위 적용대상 외의 경우 | 매매 / 교환 / 임대차 등 | 0.9% |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건물은
매매 / 교환 / 임대차 상관 없이
최대 0.9%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 복비 계산 방법, 이것만 따라하세요!
흔히 복비라고 알려져 있는 중개수수료는
거래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① 주택 매매 및 전세일 경우
: 거래 금액 X 상한요율
예를 들어 1억짜리 아파트를
매매나 교환, 전세로 이용한다면?
- 상한 요율 0.5% / 한도액: 80만 원
중개수수료는?
: 1억 X 0.5% = 50만 원
② 월세일 경우
: {보증금 + (월세 X100)} X 상한요율
보증금 1,000만 원 / 월세 50만 원
오피스텔을 거래한다면?
- 상한 요율 0.4%
중개수수료는?
: {1,000만 원 + (50만 원 X100)} X 0.4%
= 40,014원
3. 부동산 중개수수료,
네고 가능할까?(ft. 협의 조건)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상한선 내에서는 가능합니다.
국토교통부는 부동산 중개수수료율을
의로인과 중개인 사이에서
협상할 수 있도록 의무화했기 때문입니다.
5억원 아파트를 매매할 때
최고 요율이 0.4%라면?
최대 200만 원 내에서는
협의 하에 네고가 가능한거죠.
💡여기서 TIP
: 중개수수료 네고 필승법!
① 네고는 역시 타이밍!
본인이 만약 매수자라면?
계약금을 이체하기 전에
네고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매도자 입장에서는 다 따놓은 계약이니,
협의할 의지 up!
② 간이 과세자 여부 확인하기
대부분 부동산은 부가세를
별도 10% 정도 받습니다.
이때 간이 과세자일 경우
부가세가 3%로 줄어요!
나는 부동산 중개수수료
도저히 네고 못한다! 하신다면?
부동산, 중개, 수수료, 복비, 계산, 방법, 보수, 전세, 월세, 매매, 주택, 오피스텔, 상한, 요율, 교환, 임대차, 네고, 협의, 양쪽, 계약, 간이, 과세자, 부가세, 아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