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소득공제ㅣ2025 연말정산 환급 최대치 받는 꿀팁

URL 복사스크랩

아정당

2025.05.02 업데이트

조회400

스크랩0

댓글0

연말정산이 뭐죠?

 

연말정산은 1년간 미리 낸 세금을 연말에 다시 계산해서 돌려받거나 더 내는 과정입니다.

 

즉, 1년 동안(1월~12월)의 월급과 지출 내역을 합산해 실제 내야 할 세금을 계산한 뒤, 미리 납부한 세금과 비교하여 차액을 돌려받거나 추가로 납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나의 소득을 깎아주는 소득공제

소득공제는 세금을 계산할 때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제도입니다. 돈을 벌 때 필요한 비용(필요경비)을 인정해주는 방식입니다.

 

📌 대표적인 소득공제 항목

 

  • 근로소득공제: 근로 활동에 필요한 경비를 소득에서 차감
  • 인적공제: 부양가족 수에 따라 일정 금액을 소득에서 공제
  • 신용카드 소득공제: 연봉의 25% 초과 카드 사용액 일부를 소득에서 공제

 

이렇게 소득에서 각종 공제 항목을 빼고 남은 금액을 과세표준이라고 하며, 이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세금이 계산됩니다.

 

 

세금을 더 깎아주는 세액공제

세액공제는 소득공제 후 결정된 세금에서 추가로 세금을 깎아주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최종적으로 내야 하는 세금 자체를 줄이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세액공제가 많을수록 실제 납부할 세금은 더 줄어듭니다.

 

📌 세액공제 계산 식

 

과세표준 × 세율 = 산출세액
산출세액 – 세액공제 = 결정세액(최종 세금)


📌 대표적인 세액공제 항목

 

  • 자녀 세액공제 : 부양하는 자녀 수에 따라 세금 감면
  • 의료비 세액공제 : 연간 지출한 의료비 중 일부 금액 공제
  • 월세 세액공제 : 월세 지출 금액의 일부 세금 공제

 

 

 

신용카드 공제 조건,

덜 쓰는게 유리?

 

총 급여 25% 까지만 신용카드 사용

소득공제는 총 급여의 25% 이상부터 가능합니다. 즉, 연봉이 3,000만원이라면, 750만원(3,000만원의 25%) 이상의 카드 사용분 부터 소득 공제가 시작됩니다.

 

따라서 그 이후에는 공제 비율이 더 높은 체크카드·현금 사용이 더 유리합니다.

 

[결제 수단 별 소득 공제 비율]

결제 수단

공제율

신용카드

15%

체크카드·현금

30%

 

💡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 연봉: 3,000만원

✅ 사용액: 1,500만원

➡️ 사용액 1,500만원 중 연봉의 25%(750만원)을 제외한 750만원만 공제 대상

결제수단

사용액

공제액

신용카드

1,000만원

37만 5천원 (250만원 x 15%)

체크카드

300만원

90만원 (300만원 x 30%)

현금

200만원

60만원 (200만원 x 30%)

합계

1,500만원

총 187만 5천원 공제

 


✅모두 신용카드만 썼다면?

➡️공제액이 적어짐

결제수단

사용액

공제액

신용카드

1,500만원

112만 5천원 (750만원 x 15%)

합계

1,500만원

총 112만 5천원 공제

 


📢 신용카드 공제에 한도 있음

 

  • 연봉 7,000만원 이하: 연 최대 300만원 공제
  • 연봉 7,000만원 초과: 연 최대 250만원 공제

 

 

연말정산 신용카드 공제 제외·중복 가능 항목

공제 제외 항목

중복 공제 가능 항목

· 통신비

· 인터넷 사용료

· 리스 비용

· 면세점 구매

· 신차 구매

· 해외여행

· 세금

· 공과금

· 미취학 자녀 학원비

· 교복 구입비

· 의료비

 

부양가족(인적공제 대상자)의 카드 사용 금액도 합산하여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신용카드 공제 꿀팁

 

연말정산 미리보기 활용하기

10월부터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연말정산 미리보기'로 1~9월 실제 사용액을 확인하고, 1012월 예상 사용액을 입력해 환급금액을 미리 체크하세요.

 

 

소득의 25%까지는 신용카드 사용 추천

소득의 25%까지는 어떤 카드를 써도 공제가 안 됩니다. 이 구간에서는 체크카드보다 혜택이 큰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게 유리합니다.

 

 

공제한도 초과 후엔 체크카드·현금 사용

연봉의 25% 이상 쓴 이후에는 신용카드(15%)보다 체크카드·현금(30%)을 사용하는 게 공제율이 높아 유리합니다.

 

 

부부는 카드 지출 합리적으로 분산하기

부부라면 어느 한쪽이 공제 한도에 도달했을 때, 다른 배우자의 카드로 지출을 몰아주면 두 사람 모두 최대 공제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안 보면 혜택 놓치는 카드 최신 정보

신용카드 결제 내역 조회로 소비습관 확인!

신용카드 등록 후 60일까지 무료 혜택! 

해외직구 사기? 차지백 서비스 신청으로 해결!

신용카드 여러 개 발급 후 제대로 쓰는 법!

월세, 신용카드로 결제가 된다고?


⬇️ 이 페이지에서만 받을 수 있는 현금 혜택 ⬇️

 

최대 17만 원 캐시백 받으려면?

오직 아정당에서만!

 

법적으로 보장된 128만 원! 

인터넷·정수기렌탈·휴대폰

목록으로

신용카드 공제, 신용카드 연말정산, 연말정산 신용카드, 신용카드 소득공제, 신용카드 공제조건, 연말정산 꿀팁, 2025 연말정산, 연말정산 공제한도, 신용 카드 공제율, 현금 영수증 소득 공제 비율, 체크 카드 소득 공제 비율

댓글 0

관심글 댓글 알림

비회원(로그인필요)

나에게 맞는 상품 찾기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

1833-3504

365일 밤낮 없는 로켓상담 피켓 든 탁재훈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
가입하기
apply icon 셀프 바로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