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력 음력 변환 방법 (네이버, 생활천문관 변환기)
아정당
2025.07.23 업데이트
조회178
스크랩0
양력 음력은 계산 방식이 달라서 같은 날이라도 해마다 날짜가 달라져요.
10초 만에 정확하게 양력음력전환하는 꿀팁, 알려드릴게요
[양력음력전환 핵심!]
구분 | 양력 | 음력 |
---|---|---|
기준 |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365일 | 달이 지구를 도는 29.5일 × 12개월 = 354일 |
장점 | 일정이 고정됨 | 명절·절기와 계절 맞춤 |
윤달 | 없음 | 2~3년에 한 번, 한 달 추가 |
변환 난이도 | 없음 | 윤달 포함 시 복잡 |
1. 양력과 음력의 개념은?
출처 : 휴비스
1) 양력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1년이 365일이에요.
달마다 날짜가 일정해 음력보다 관리가 쉬워요.
2) 음력(태음력)
달의 주기(29.5일)를 기준으로 12개월을 계산해 1년이 354일이에요.
계절 차이를 맞추기 위해 2~3년에 한 번 윤달이 추가돼요.
3) 윤달
음력이 양력보다 11일 짧아 2~3년에 한 번 날짜 차이를 맞추려고 추가되는 한 달이에요.
즉, 특정 해에는 같은 월이 두 번(예: 2023년 윤2월) 생기는 달이에요.
2. 양력음력전환 간단하게 하는 방법
1. 네이버 변환기
1) 네이버 검색창에 “양력 음력 변환” 입력
2) 변환기 위젯에서 연도·월·일을 입력
3) 변환 버튼 클릭 → 결과가 바로 하단에 표시
4) 윤달 여부와 음력·양력 날짜를 함께 확인
2.한국천문연구원 ‘생활천문관’ 변환기
1) '생활천문관' 홈페이지 접속
2) ‘음양력변환계산’ 메뉴로 이동
3) “양력을 음력으로” 또는 “음력을 양력으로” 선택
4) 연·월·일 입력 (윤달 여부도 선택 가능)
5) ‘변환하기’ 클릭 → 양·음력, 간지, 율리우스일, 윤달 포함 정보 확인
💡실생활 꿀팁 및 주의사항
1) 삼성 캘린더, 아이폰 캘린더는 '한국 음력' 추가 후,
원하는 날짜에 ‘음력 반복’ 이벤트 등록하면 매년 자동 알림
2) 제사 등 중요한 행사는 2개 이상의 변환 앱에서 결과 대조 추천
3) 변환기에서는 윤달이 있는지 반드시 직접 체크
4) 해외 IP로 접속 시 변환기가 현지 시각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음
→ 국내 서버 변환기 추천
양력음력전환 간단한 방법 이해하셨죠?
중요한 날짜는 한번 더 확인하는것, 잊지마세요!
양력, 음력, 윤달, 변환기, 네이버 변환기, 한국천문연구원, 생활천문관, 음양력 변환, 음력 반복 이벤트, 제사, 중요 날짜 확인, 변환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