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계약 기간 연장 및 주의사항 체크하세요 (중도해지 파기 갱신청구권)

URL 복사스크랩

아정당

2025.09.08

조회204

스크랩0

댓글0

“월세 계약 끝나가는데 어쩌지…”

 

계약서를 보면 헷갈리는 조항도 많고,

기간 연장이나 중도해지할 때

주의사항도 놓치기 쉬운데요.

 

오늘은 ​월세 계약 기간 연장 방법과

주의사항 체크리스트를 정리해드릴게요!

 


 

✅ 핵심 요약

 

구분주요 내용

계약 기간

통상 2년 (임대차보호법 기준)

연장 방법

임차인 갱신청구권 1회 행사 가능

중도 해지

임차인 사정 시 3개월 전 통보 필요

위약금

잔여기간 월세의 3개월치 범위 내

자동 갱신

별도 의사표시 없으면 2년 자동연장

 

 

▼ 전·월세 계약 시 필수 확인사항 3가지

 

절차 및 체크리스트

 

1. 계약 기간 확인

  • 기본은 2년이지만, 계약서에 다른 기간을 적을 수도 있어요.

  • 임차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2년 보장돼요.

 

2. 갱신청구권

  • 임차인은 1회에 한해 2년 연장 청구 가능

  • 계약 종료 6개월 전~2개월 전까지 통보해야 효력 발생

 

3. 중도해지·파기

  • 갑작스러운 이사, 직장 이동 사유로 해지·파기할 때는 3개월 전 통보 필수

  • 위약금은 최대 3개월치 월세 한도로 조정돼요.

 

 


 

✅ 주요 개념 비교

 

구분

갱신청구권

자동갱신

행사 주체

임차인 신청 필요

별도 의사 표시 없을 시 자동

기간

2년

2년

횟수 제한

1회 한정

제한 없음 (반복 가능)

 

 


 

주의사항

 

  • 갱신청구권 기한(2~6개월 전)을 놓치면 행사 불가능

  • 임차인 중도해지 시 3개월치 월세 상당액 손해배상 발생

  • 임대인 정당한 사유 없이 갱신 거절 시 법적 분쟁 가능

 


 

꿀팁

 

  • 계약 만료일은 휴대폰 캘린더에 미리 알림 설정해 두세요.

  • 중도해지 시, 후임 세입자를 구해 임대인과 협의하면 위약금을 줄일 수 있어요.

  • 계약 연장 시 월세 인상률은 5% 이내로 제한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FAQ

 

Q1. 계약서에 1년으로 써있는데, 2년 보장받을 수 있나요?

→ 네. 법적으로 최소 2년 보장돼요.

 

Q2. 자동갱신되면 월세도 그대로 유지되나요?

→ 원칙적으로 동일 조건이 유지되지만, 임대인과 합의 시 조정 가능해요.

 

Q3. 임대인이 실거주를 이유로 갱신 거절할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단, 실제 입주해야 하고 거짓일 경우 손해배상 책임이 있어요.

 

 


 

👉 월세 계약 시

연장·중도해지·자동갱신 확인은 필수

 

계약 만료 전 갱신청구권과

위약금 규정을 꼭 확인하세요!

 


 

잠깐!

직접 발품팔아 집 찾고 있다면?

실 매물 5만 개 보유중이니

실시간 매물 조회 가능해요!

 

▼ 지금 제일 핫한 매물, 바로 보기 ▼

 

 

 

목록으로

월세 계약 만료 전 이사, 월세 계약 해지 통보 1개월, 월세 계약 연장

댓글 0

관심글 댓글 알림

비회원(로그인필요)

나에게 맞는 상품 찾기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

1833-3504

365일 밤낮 없는 로켓상담 피켓 든 탁재훈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