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세 납부일 확인 및 변경방법 알아보기
아정당
2025.08.26
조회139
스크랩0
납부일만 내게 맞게 바꿀 수 없을까?
전기세 납부 변경, 시도해보기도 전에 포기하신 분들 많으실 거예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1분 만에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1. 납부일 및 납부방법 1분만에 변경하는법
1. 한전 ON 접속 및 로그인
① 웹 또는 앱에서 “한전 ON” 접속
② 간편로그인(카카오, 네이버, PASS 등) 또는 ID 로그인
2. 납부일 변경 (납기일 선택제)
① 메뉴에서 ‘민원신청’ 클릭 → ‘납기일 선택제 신청’ 이동
② 고객번호 선택 후 원하는 납부일 지정 → 약관 동의 → 신청 완료
3. 납부방법 변경 (자동이체 등)
① ‘요금납부’ 메뉴 클릭
② ‘자동이체’, 지로, 편의점 QR, 카드 결제 등 중 선택
③ 자동이체 시: 은행 계좌 또는 카드 정보 입력 → 약관 동의 → 신청 완료
4. 신청 후 확인 및 반영
✔ 납기일 변경: 영업일 기준 6일 전까지 신청해야 당월 반영되고, 이후 신청 시 익월부터 반영됨
✔ 자동이체 시작: 통상 20일 후 전산처리 완료됨, 우편 안내 수신 가능
📌주요 개념 정리
항목 | 납기일 변경 | 납부방법 변경 (자동이체 등) |
---|---|---|
메뉴 | 민원신청 → 납기일 선택제 신청 | 요금납부 → 자동이체 / 기타 납부수단 선택 |
유의사항 | 6영업일 전까지 신청 필요 | 20일 정도 전산 반영 지연 가능 |
혜택 | 별도 없음 | 자동이체 시 0.5% 요금 할인, 최대 500원 |
✔ 납기일 변경: 영업일 기준 6일 전까지 신청하지 않으면 해당 월에는 반영 안 됨
✔ 자동이체 개시 지연: 신청하고 최대 20일 걸릴 수 있음 → 납기일과 신청 시점을 꼭 고려
✔ 해지 및 변경 시기 미확인 시 연체료 발생 가능
2. 전기세 납부 변경 자주 묻는 질문
Q. 납기일 언제까지 변경할 수 있나요?
→ 영업일 기준 6일 전까지 신청해야 당월 반영됩니다. 이후 신청 시 익월부터 적용돼요
Q. 자동이체 시작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 전산 처리까지 최대 20일 정도 소요될 수 있어요. 청구서 수령 전에는 일반 납부 필요합니다
Q. 납기일과 납부방법을 동시에 바꿀 수 있나요?
→ 네! 민원신청 → 납기일, 요금납부 → 자동이체 메뉴에서 각각 순차적으로 변경 가능해요.
Q. 다른 사람 계좌로 자동이체 설정 가능한가요?
→ 네, 청구서 명의자와 예금주가 달라도 자동이체 가능해요
💡꿀팁 공유!
1) 자동이체와 납기일 변경을 동시에 하면 월간 관리가 훨씬 편해져요!
1) 추가출금제도 함께 설정 : 잔액 부족 시 최대 10일 후 1회 추가 출금되어 연체 방지 가능해요
3) 납기일을 월초로 변경해두면 월말 바쁠 때도 걱정 끝!
‘6영업일 전 신청’, 자동이체 계좌 설정, 납기일 월초 조정—이 세 가지만 챙기면 매달 전기세 고민 끝!
전기세 납부 변경 필요하신 분들은 지금 바로 한전 ON 앱이나 웹에서 이용해보세요!
전기세 납부일 변경, 전기세 납부방법 변경, 한전 ON 납부일, 전기요금 자동이체, 전기세 자동이체 할인, 전기세 납부일 조정, 전기세 연체 방지, 한국전력 납부일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