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식 구조 장단점 및 예시 알아보기

URL 복사스크랩

아정당

2025.08.11

조회34

스크랩0

댓글0

벽돌 하나하나 쌓아 만든 집, ‘조적식 구조’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흔히 벽돌집이라고 부르는 건물이 대표적인 예죠.
오늘은 예시와 장단점까지 알기쉽게 설명드릴게요!

 

1. 조적식 구조란?

 

조적식 구조는 쉽게 말하면, 벽돌이나 블록을 하나하나 쌓아서 벽을 만드는 방식이에요.
모르타르(시멘트와 모래 혼합물)를 벽돌 사이에 넣어 접착하며 층층이 쌓아올리는 것이 기본입니다.


특징은 기둥이나 보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 벽 자체가 하중을 견뎌야 한다는 점이에요.
그래서 벽이 두껍고, 구조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건물에 주로 쓰입니다.


예전에는 가장 흔하게 쓰였지만, 

요즘은 철근콘크리트 구조(RC)경량철골구조(S)​로 점점 바뀌는 추세예요.

 


2. 블록 구조는 뭐가 달라요?

 

 

사실 블록구조도 조적식 구조의 한 종류예요!
하지만 요즘 말하는 “블록구조”는 주로 아래와 같은 형태를 말하죠.

 

구분조적식 구조 (전통)블록 구조 (현대)
재료소형 벽돌, 석재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시공 속도느림빠름
단열 성능낮음상대적으로 개선 가능
주 사용처주택, 한옥 리모델링 등창고, 공장 외벽 등

 

전통적인 조적식 구조가 붉은 벽돌이나 돌을 사용해 수작업으로 쌓는 방식이라면,

블록 구조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해 조금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습니다.


3. 조직식 구조 장점과 단점, 확실히 짚고 가기

 

✔ 장점

 

시공이 간단하고 자재 구입이 쉬워 비용이 저렴한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별다른 장비 없이도 공사가 가능하고, 유지보수도 비교적 간편합니다.

 

✔ 단점

 

내진 성능이 약해 지진에 취약하고
단열 성능도 낮아 냉난방 효율이 떨어져요.

그래서 현재, 고층 건축물이나 상업시설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아요.


4. 예시는 어디서 볼 수 있나요?

 

조적식 구조는 주로 다음과 같은 건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1980년대~1990년대에 지어진 단독주택
-시골 지역의 농가나 축사
-단열이나 내진 기준이 높지 않았던 시기의 다세대주택
-건축비용을 낮추기 위해 소규모 창고나 사무실을 지을 때

 

요즘은 리모델링 현장에서 비내력 내벽에 간단히 조적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주로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해 구획을 나누는 용도로 쓰이죠.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조적식 구조 건물은 무조건 오래된 건물인가요?
👉 그렇진 않아요! 최근에도 창고나 농가에선 간단하게 쓰는 경우가 있어요.

 

Q2. 내진 보강을 할 수 있나요?
👉 네, 철근 보강이나 철골 프레임 추가로 가능하지만 비용(수백~수천만 원)이 들어요.

 

Q3. 리모델링 시에도 조적 구조를 쓸 수 있나요?
👉 내벽/비내력벽에서는 비교적 간편하게 쓸 수 있어요.

 

Q4. 단열은 어떻게 하나요?
👉 외단열재, 우레탄폼, 드라이비트 등을 추가 시공해야 단열 성능이 올라갑니다.

 


핵심정리!

조적식 구조는 벽돌·블록을 쌓아 만든 구조 방식.
현재는 저층 주택, 창고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돼요.
건물 구매나 리모델링할 땐 구조 확인이 필수입니다!

목록으로

조적식 구조, 벽돌집, 블록 구조, 건축 구조, 건물 리모델링, 내진 성능, 단열 성능, 조적식 장점, 블록 구조 장점, 저층 주택, 농가, 축사, 건축비용, 시골 건축, 공사 효율, 건물 구조

댓글 0

관심글 댓글 알림

비회원(로그인필요)

나에게 맞는 상품 찾기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

1833-3504

365일 밤낮 없는 로켓상담 피켓 든 탁재훈
아정당은 365일 24시간 상담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