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신고서 등록기준지 작성 요령
아정당
2025.09.03
조회229
스크랩0
아이가 태어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중 하나가 바로 출생신고예요.
그런데 신고서를 작성하다 보면 “등록기준지 칸에 뭘 써야 하지?” 하고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출생신고서 등록기준지 작성 요령을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1. 출생신고서 등록기준지란 무엇일까?
✔ 등록기준지 = 가족관계등록부가 보관되는 행정 구역
예전의 ‘본적(本籍)’ 개념과 유사하지만, 2008년 이후 ‘등록기준지’라는 용어로 변경됨
주민등록상 주소와는 다르며, 본인 또는 부모가 선택할 수 있음
즉, 출생신고서 작성 시 아기의 가족관계등록부가 어디에 보관될지를 정하는 거예요.
2. 출생신고서 등록기준지 작성 방법
구분 | 작성 요령 | 예시 |
---|---|---|
기본 원칙 | 부모 중 한 사람의 등록기준지 선택 가능 | 아빠 또는 엄마 등록기준지 |
자유 지정 | 부모 등록기준지와 무관하게 | 원하는 시·군·구 기재 가능 “서울특별시 종로구” |
기재 방법 | “시/군/구” 단위까지 기재 (읍·면·동, 지번 불필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변경 가능성 | 추후 변경 가능 (가족관계등록부 정정 신청) | 필요 시 신청 |
주민등록 주소는 “현 거주지”, 등록기준지는 “가족관계등록부 관리지”라고 구분해서 기억하세요!
3. 출생신고 절차 궁금해요
구체적으로 출생신고 절차까지 이어서 알아보면 더 이해가 쉽습니다.
1️⃣ 출생증명서 발급 → 분만 병원에서 의무적으로 발급
2️⃣ 출생신고서 작성
아기 이름, 부모 정보, 등록기준지 기재
신고인: 원칙적으로 부모 중 한 명
3️⃣ 신고 제출
시/군/구청 가족관계등록계 방문 제출
정부24 온라인 신청 가능 (단, 부모 공동인증 필요)
4️⃣ 처리 완료 → 가족관계등록부에 등록 → 주민등록번호 부여
제출 기한: 출생일로부터 1개월 이내
지연 시 과태료: 최대 5만원 (가족관계등록법 제122조)
주의사항 ⚠
① 등록기준지는 구체적인 지번이나 주소 아님 → 시/군/구까지만 작성
② 주민등록지와 등록기준지를 혼동하지 않기
③ 부모가 혼인신고 전이라면, 친생자 확인 절차가 필요할 수 있음
④ 온라인 신청 시 공동인증서 미리 준비 필수
3. 출생신고서 등록기준지 헷갈리는 점
Q1. 등록기준지는 꼭 부모 등록기준지와 같아야 하나요?
👉 아니요. 전국 어디든 자유롭게 정할 수 있어요.
Q2. 등록기준지를 잘못 적으면 어떻게 되나요?
👉 가족관계등록부 정정 신청으로 변경 가능해요.
Q3. 주소지와 등록기준지를 다르게 써도 되나요?
👉 네, 주소는 생활거주지, 등록기준지는 서류 관리지라 달라도 문제 없습니다.
Q4. 출생신고는 꼭 부모가 해야 하나요?
👉 원칙은 부모지만, 부모가 불가능할 경우 조부모·동거친족·의사 등이 할 수 있습니다.
출생신고서 작성에서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등록기준지입니다.
✔ 부모 등록기준지 중 하나 선택 가능
✔ 전국 어디든 자유 지정 가능
✔ 시/군/구 단위까지만 기재
출생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과태료를 피할 수 있다는 점도 꼭 기억하세요!
“내 아이의 첫 공식 기록”인 만큼, 꼼꼼히 작성해주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출생신고 등록기준지, 출생신고서 작성 요령, 등록기준지 의미, 가족관계등록부 위치, 본적과 등록기준지 차이, 출생신고 절차, 출생신고 온라인 신청, 등록기준지 자유지정, 출생신고 과태료, 정부24 출생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