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기 배수, 배기 방식 총정리 (직접 배기, 콘덴싱 배수, 실내 설치, 설치 비용까지)
URL 복사스크랩
아정당
2025.01.22 업데이트
조회332
스크랩0
건조기 배수(배기) 방식
배수(배기)방식 | 직접 배기 | 콘덴싱 배수 |
---|---|---|
적용 건조 방식 | 가스식, 히터식 | 히트펌프식,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식 |
배출 방식 | 수증기를 바로 배출 | 수증기를 물로 바꾸어 배출 |
설치 범위 | 배기구 설치 가능한 실외 연결 장소 | 배수 호스 설치 장소 실내(물통 저장식) |
실내 설치 | X | O |
단점 | 창문 개폐 제한 설치 비용 발생 | 콘덴서 및 물통 관리 필요 |
설치비 | 10~30만 원 | X |
1
배기구 설치가 필요한 배기 방식
가스식, 히터식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고온 다습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입니다.
창문, 베란다 등에 배기구 설치가 필요하며 단열 효과 저하, 창문 개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배기구 없이 사용 시 의류 먼지가 함께 나와 실내 공기질 악화 위험)
2
실내 설치가 가능한 콘덴싱 배수 방식
히트펌프식, 하이브리드 방식에 주로 사용되며, 수증기를 물로 변환하여 배수관이나 물통으로 배출하는 방식입니다.
물통을 사용하면 실내 설치가 가능하지만, 2~3회 사용 후 물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위생 관리가 중요한 콘덴싱 배수 방식
배수방식에서, 수증기를 물로 변환하는 ‘콘덴서’는 곰팡이, 악취가 발생하고 고장 나기 쉽습니다.
한 달에 한 번 브러쉬나 진공청소기로 청소해야 하며 관리가 신경 쓰인다면 청소 알림 기능이나 자동 세척 기능 추천드립니다. (탑재 시 10~20만 원 추가)
배수 방식, 배기 방식, 건조기 배수방식, 건조기 배기 방식, 건조기 배수, 건조기 배수 통, 건조기 배수 펌프, 건조기 배수 호스, 건조기 설치 배수, 콘덴싱, 콘덴서, 콘덴서 청소, 콘덴서 관리, 콘덴싱
꿀팁게시판
더보기 Item 1 of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