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약정 vs 공시지원금, 차이점 비교 & 위약금 계산법 한눈에 정리!
아정당
2025.04.15 업데이트
조회16,208
스크랩0
선택약정 가입 전 알아야 할 '3가지'
선택 약정 가입 조건
① 공시 지원금 받지 않은 신규 단말기
② 개통되지 않은 공기계 형태 신규 단말기
③ 최초 개통 후 24개월 지난 중고 단말기
선택 약정은 SKT, KT, LGU+에
가입된 단말기만 가능합니다.
알뜰폰은 가입 안돼요!
목차
1. 선택약정 vs 공시지원금 차이 비교
2. 선택약정 조회 및 위약금 계산 방법
1. 선택약정 vs 공시지원금 차이 비교
선택약정과 공시지원금의 차이
선택약정 | 공시지원금 | |
---|---|---|
할인 | 매월 25% 요금할인 | 기기 값 할인 |
특징 | 정해진 기간 동안 할인 적용 | 휴대폰기종, 요금제, 통신사 별 할인 금액 다름 |
추천 | 휴대폰을 1년 주기로 바꾼다 고가 요금제가 필요하다 공시지원금 헤택이 적다 | 최신 기기가 필요없다 한번 사면 오래 쓴다 초기 비용을 아끼고 싶다 |
휴대폰 구매, 개통 후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 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요.
중요한 것은 꼭 할인 총액을 비교해
더 저렴한 할인을 골라야 합니다.
할인 총액 비교
‘아이폰14(512GB)’를 예시로 알아보겠습니다.
선택약정 할인 총액
- 원금 + 이자 ÷ 약정 기간 = 월 할부금
➔ 1,694,000 + 106,067 ÷ 24 = 75,003
- 기본 요금 X 0.25(25%) = 선택약정 할인 금액
➔ 130,000 X 0.25 = 32,500
- 기본 요금 - 선택약정 할인 금액 = 통신비
➔ 130,000 - 32,500 = 97,500
- 월 할부금 + 통신비 = 월 청구요금
➔ 75,003 + 97,500 = 172,503
공시지원금 할인 총액
- 출고가 - (공시지원금 + 추가 지원금) = 원금
➔ 1,694,000 - 517,500 = 1,176,500
- 원금 + 이자 ÷ 약정 기간 = 월 할부금
➔ 1,176,500 + 73,655 ÷ 24 = 52,090
- 월 할부금 + 통신비 = 월 청구요금
➔ 52,090 + 130,000 = 182,090
💡추천 정리
- 2년 약정 기준 할인 총액
➔ 선택약정 < 공시지원금
- 1년 약정 기준 할인 총액
➔ 공시지원금 < 선택약정
2. 선택약정 조회 및 위약금 계산 방법
위약금 = 약정 채우지 못해 할인 받은 금액 돌려줌
개통할 때 단말기나 요금 값을 빼는 조건으로
일정 기간 동안 휴대폰을 쓰는데요.
약정은 1년이나 2년으로 주로 설정합니다.
이 기한을 다 채우면 문제될 게 없어요.
다만, 그보다 일찍 요금제를 바꾸거나 해지할 때
위약금이 발생합니다.
선택약정 위약금 계산 방법
선택약정은 약정 기간을 네 등분 하면 돼요.
4분기로 나눴을 때,
1분기 내에는 100% 그대로 토해내야 합니다.
포물선 형태로 위약금이 달라져요.
[ 99,000 요금제 선택약정 위약금 흐름 ]
- 12개월 약정
- 24개월 약정
지금 사용하고 있는 요금만
입력하면 위약금을 알 수 있는 파일입니다.
위약금 조회 방법

선택약정,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할인, 공시지원금 비교, 선택약정 가입 조건, 위약금 계산법, 통신사 요금제 할인, 공시지원금 지원금액, 휴대폰 약정, 선택약정 해지, 선택약정 vs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위약금 조회, SKT 선택약정, KT 선택약정, LG U+ 선택약정